Technological Deep Dive

How to Get into the Tech

2024/11/18 2

[TA] #1 언어 그리고 통계적 의미론(statistical semantics)의 아이디어

*This content is based on the article written by Ji Ho Park and Gichang Lee요약1. 언어의 가장 기본이 되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벡터(vector)로 표현되며, 문서는 이러한 단어들의 집합 형태로 나타낼 수 있음2. 컴퓨터가 언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확인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는 단어의 빈도수(word frequency)임3. 분포 의미론(distributional hypothesis): 비슷한 맥락에 등장하는 단어들은 유사한 의미를 지니는 경향이 있음 이를 바탕으로 '빈도(frequency)'를 '의미(semantic meaning)'로 변환할 수 있음을 설명하고자 합니다. 컴퓨터에게 언어는 어떤 의미일까?언어의 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

[ML] #1 Introduction to Machine Learning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인공지능에 관심이 있다면,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딥러닝(Deep Learning), 생성형 AI(Generative AI), 초거대 AI 등 다양한 키워드를 많이 들어봤을 것입니다. 본 글에서는 인공지능과 머신러닝에 대한 소개와 기본적인 개념 그리고 머신러닝 기법의 분류 체계를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정의인간의 지적능력을 컴퓨터로 구현하는 과학기술로서, ① 상황을 인지하고, ② 이성적·논리적으로 판단 및 행동하며, ③ 감성적·창의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능력까지 포함(인공지능 국가전략, 2019) 인공지능의 등장 이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문가 시스템(Experts System)과 머신러닝(Machine Lea..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