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ical Deep Dive

How to Get into the Tech

Knowledge Repository/Strategic Tools 8

[ST] #7 내부역량 진단(3/3) - 고객가치, 고객생애가치 분석(RFM, CLV 분석)

지난 글들을 통해 우리는 내부역량 진단을 위해 기업의 밸류체인 분석과 조직역량 분석을 다루었습니다. 내부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마지막 단계는 비즈니스를 구성하는 필수요소 중 하나인 고객에 대한 것입니다. 과거에는 우리 제품과 서비스를 최대한 많은 사람들이 소비하게 하는 것이 목표였다면(지금도 맞는 이야기지만), 최근에는 우리 제품과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고객 집단을 탐색(세분화)하여 그들만을 위한 마케팅을 통해 이익을 극대화하는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반대로 세분화된 고객 집단간 차별적인 특성을 반영하여 제품과 서비스의 다양성을 추구하기도 합니다. 이와 관련된 전략은 추후에 기획/마케팅 전략 파트에서 다루도록 하고, 오늘은 고객가치 분석(RFM 분석), 고객생애가치 분석(CLV 분석)을 알아보도록 하겠습..

[ST] #6 내부역량 진단(2/3) - 조직역량 진단(7S, SPROC, VRIO 분석)

지난 포스팅에서 우리는 기업 내부역량을 진단하기 위한 첫번째 도구인 밸류체인 분석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조직역량 진단을 위해 자주 사용되는 세 가지 접근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조직역량 진단은 조직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과정입니다.7S 분석맥킨지(McKinsey) 7S 프레임워크는 1980년대에 로버트 워터맨(Robert Waterman)과 톰 피터스(Tom Peters)에 의해 개발된 도구입니다. 전략 실행을 위한 새로운 조직 관점을 7개의 요소로 제시했으며, 그것은 바로 구조(Structure), 전략(Strategy), 시스템(System)이라는 3가지 하드웨어적 경영자원과 공유가치(Shared value), 능력(Skill), 문화(Style), 인..

[ST] #5 내부역량 진단(1/3) - 밸류체인 분석(Value Chain 분석)

지난 포스팅까지 외부환경 분석을 위한 다양한 기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기업 내부역량을 진단하는 도구들을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번째로 (1) 어떻게 가치를 창출하는지 분석하고, 그 (2) 유효성과 문제점을 발견하기 위한 프레임워크인 밸류체인 분석을 알아보겠습니다.밸류체인 분석밸류체인(Value Chain, 가치사슬)은 1985년 마이클 포터(Michael E. Porter)가 라는 저서에서 제시한 비즈니스 시스템을 분석하는 프레임워크입니다. 가치사슬은 기업의 기능, 활동의 흐름과 프로세스에 초점을 맞추어, 어떤 가치를 제공하고 있는지 분석합니다. 경쟁전략을 세우기 위해, 자신의 경쟁적 지위를 파악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지점을 찾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슬(Cha..

[ST] #4 외부환경 분석(4/4) - 시나리오 기법(Scenario Planning)

우리는 지난 포스팅들을 통해 외부환경 분석을 위한 거시환경 분석, 미시환경 분석, 그리고 산업환경 분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기업의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 불확실한 미래를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한 시나리오 기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시나리오 기법 시나리오 기법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미래를 탐구하고 대응 전략을 수립하는 전략 수립 기법입니다. 전통적인 예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고안되었으며, 기업의 전략 수립에 있어서 미래를 인지하는 데 활용됩니다.  전통적 전략기획은 확실성이 높은 환경 변수만을 고려하여 예측을 실시하고, 그 예측에 근거하여 전략을 수립하는 형태로 보통 진행됩니다. 이러한 예측들에 기반하여 도출된 전략들은 불확실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기 때문에 예상치 못한 미래가 펼쳐질 경우 ..

[ST] #3 외부환경 분석(3/4) - 산업환경 분석(5-Forces 분석)

지난 포스팅에서 우리는 외부환경 분석 중 미시환경 분석을 위한 핵심 도구인 3C와 보조 도구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산업환경 분석을 위한 바이블인 5F (5-Forces) 분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업환경 분석산업환경 분석은 (1) 산업 내 이해관계자에 대한 구조적인 분석을 거쳐 (2) 경쟁기업간의 경쟁 양상 및 경쟁 강도를 파악합니다. 이를 통해 전략수립을 위한 외부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약과 위협을 확인하고, 활용 가능한 기회를 발굴하는 것은 물론, 산업의 매력도와 향후 미래 외부 사업환경의 예측 등 각 수준별 전략수립을 위한 전략적 위치를 도출하게 됩니다. 외부환경 분석에 있어서 세번째 단계는 산업환경 분석입니다. 산업환경 분석이라는 것을 이야기 하기 이전에 '산업(Indu..

[ST] #2 외부환경 분석(2/4) - 미시환경 분석(3C, KBF, KSF, 피아 분석)

지난 포스팅에서 우리는 외부환경 분석 중 거시환경 분석을 위한 대표적인 도구들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시환경 분석을 위한 가장 보편적인 분석인 3C 분석과 이를 둘러싼 관련 기법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미시환경 분석기업과 환경은 불가분의 관계에 있습니다. 미시환경이란 기업이 속한 산업 내에 존재하는 주체들을 의미합니다. 구체적으로는 회사 그 자체, 채널 기업, 고객 시장 및 광범위한 관련 이해집단으로 구성된 환경으로 기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칩니다.  외부환경 분석에 있어서 두번째 단계는 미시환경 분석입니다. Customer (시장·고객), Competitor (경쟁사), Company (자사)라는 3개의 C를 이용해서 마케팅 환경을 분석하는 마케팅 프레임워크인 '3C 분석'은 서로 ..

[ST] #1 외부환경 분석(1/4) - 거시환경 분석(PEST/PESTLE, ETRIP/STEEP)

지난 포스팅에서 우리는 경영 전략을 수립하는 절차를 알아보고, 목적에 따른 전략 수립 도구의 종류를 간략하게 정리해보았습니다. 앞으로 각 분석 기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사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그럼 첫번째로 외부 환경 분석 중 거시 환경 분석을 위한 대표적인 도구들을 알아보겠습니다. 거시환경 분석기업이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외부환경 분석은 필수적입니다. 외부환경은 기업이 통제할 수 없는 요인들을 말합니다. 기업이 직면한 산업, 시장, 경쟁자 등 외부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전략을 설계하는 것은 특히, 변화무쌍한 현대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위험을 최소화하고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외부환경 분석에 있어서 첫번째 단계는 거시환경 분석입니다. 현대 사회는 급격한 변화..

[ST] #0 전략적 의사 결정을 위한 전략 수립 도구

본 시리즈는 전략적 의사 결정을 위한 전략 수립 도구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영 전략을 수립하는 절차를 알아보고, 전략적 사고(Strategic Thinking)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경영 전략 수립 절차당연히 경영 전략을 수립하는 절차는 정해진 답이 없습니다. 경영 전략을 수립하는 기업의 경영 환경과 내부의 역량(조직 구조, 인적 자원, 재무 자원, 경영자의 역량 및 의지, 조직의 미션 및 비전) 등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여러 문헌을 통해 제시된 경영 전략 수립 절차가 있지만, 기업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표준적인(?) 혹은 일반적인 경영 전략 수립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장 먼저 환경 분석을 수행하고, 전략방향수립 단계에서는 현황 분석으로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