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ical Deep Dive

How to Get into the Tech

Knowledge Repository/Strategic Tools

[ST] #0 전략적 의사 결정을 위한 전략 수립 도구

mju-bilab 2024. 12. 11. 23:54

본 시리즈는 전략적 의사 결정을 위한 전략 수립 도구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영 전략을 수립하는 절차를 알아보고, 전략적 사고(Strategic Thinking)의 중요성을 이야기하려고 합니다. 


경영 전략 수립 절차

당연히 경영 전략을 수립하는 절차는 정해진 답이 없습니다. 경영 전략을 수립하는 기업의 경영 환경과 내부의 역량(조직 구조, 인적 자원, 재무 자원, 경영자의 역량 및 의지, 조직의 미션 및 비전) 등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습니다. 여러 문헌을 통해 제시된 경영 전략 수립 절차가 있지만, 기업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해야 합니다. 표준적인(?) 혹은 일반적인 경영 전략 수립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장 먼저 환경 분석을 수행하고, 전략방향수립 단계에서는 현황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시사점을 바탕으로 조직의 미션 및 비전 등을 고려하여 전략적 위치를 결정합니다. 이후 사업, 기능별 가능한 전략 대안을 수립하고 실행을 위한 세부 계획 및 일정을 수립하게 됩니다. 

  • ① 외부환경 분석: 경영 전략 및 평가 체계 수립을 위해 외부환경 변화를 파악 및 분석하여 이에 대한 기회 및 위협요인을 도출하는 단계(거시 환경, 산업/시장 분석, 고객 분석, 경쟁환경 분석, 시나리오 분석)
  • ② 내부역량 진단: 자사의 실적, 핵심 역량, 프로세스, 재무 능력, 조직, 인력, 문화 등에 대한 평가 및 분석을 통해 강점 및 약점요인을 도출하는 단계(사업 성과 분석, 재무 성과 분석, 제품/서비스 분석, 조직 역량 진단) 
  • ③ 전략적 위치: 조직의 미션및 비전 등을 고려하여 전략 방향과 전략 과제를 도출하는 단계 
  • ④ 전략 대안: 전사, 사업부, 기능 차원의 전략 과제별 상세한 과제를 정의하는 단계
  • ⑤ 실행 과제 및 이행 계획: 실행 가능한 대안을 도출하고, 실행을 위한 세부계획 및 일정을 수립하는 단계
위 절차를 통해 전략을 구체화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의사 결정을 돕는 각 단계별 전략 수립 도구가 필요하게 됩니다. 
전략 수립 도구란 내·외부의 경영 환경 분석을 통하여 주요 성공 요인(CSF: Critical Success Factors)을 도출하는 등 전략적 의사 결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법

 

우리가 앞으로 다루게 될 전략 수립 도구들은 수 많은 컨설턴트, 경영학자, 실무자 등이 수 십년 간 쌓아온 지식과 경험 그리고 노하우가 정제된 것으로, MECE 원칙을 지키고자 합니다.  

MECE는 'Mutually Exclusive (상호 배타적)'와 'Collectively Exhaustive (전체 포괄)'의 약어

 

이 두 가지 원칙을 결합한 MECE는 문제나 상황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강력한 사고 프레임워크로, 1960년대 맥킨지(McKinsey)에서 처음 개발되었습니다. 이후 비즈니스 컨설팅, 전략 수립, 문제 해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두 가지 원칙의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상호 배타적: 각 요소나 카테고리가 서로 겹치지 않아야 합니다. 즉, 하나의 항목이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에 동시에 속할 수 없습니다. 
  • 전체 포괄: 모든 요소나 카테고리를 합치면 전체를 빠짐없이 커버해야 합니다. 즉, 누란된 부분이 없어야 합니다. 

그러나 실제 현실 세계에서 모든 문제를 MECE 원칙에 따라 구조화하고, 해결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등장한 완화된 개념이 LISS입니다. 

LISS는 'Linearly Independent Spanning Set (선형적으로 독립적이고 포괄적인 집합)'으로 선형대수학(Linear Algebra)의 개념

 

이 또한 전체집합에서 중복되지 않고 독립적이면서도 각 부분집합별로 중요한 요소의 누락이 없는 것을 의미합니다. 중복되지 않고 각각의 합이 전체가 되지는 않지만(not 100%), 각 부분집합의 중요한 요소를 반드시 포함해야한다는 접근입니다. MECE 방식으로 분석을 하게되면 전체집합을 빠짐없이 모두 다루어야 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상당히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실무적으로는 1) MECE 방식으로 전체 집합을 분류한 후, 2) LISS 방식으로 문제의 원인 또는 해결 방안을 중요도가 높은 순서로 추려내는 작업을 하게 됩니다. 

MECE 접근과 LISS 접근 비교 (source: http://jidum.com/)

전략 수립 도구

다음 그림은 이러한 MECE 관점과 LISS 관점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들이 앞으로 우리가 다루게 될 전략 수립 도구이며, 이들을 기억해두면 논리적, 분석적 사고 전개에 많은 도움을 줄 것입니다. 각 단계별 대표적인 기법들이 나열되어 있으나, 연관된 개념들과 기법을 종합적으로 다룰 예정입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거시환경 분석을 위한 전략 수립 도구"를 사례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반응형